자 다음은, mbed.org 에 제품을 등록하는 것이다. mbed.org 사이트는 mbed 사용자를
위한 컴파일러 기능 제공 및 커뮤니티, 라이브러리 공개 장소로서 이용된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품 구입후 인터넷에 연결하여 등록할 필요가
있다.
1) 우선, mbed 에 usb 케이블을 연결한 후, 컴퓨터에 usb 케이블을 연결한다. 전원
LED에 파란색 불이 들어온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 MBED.HTM 파일을 클릭하면, 웹브라우저를 통해 자동으로 mbed.org 에 접속하게 된다.
오른쪽 Signup 버튼을 클릭하고, 이어서 나오는 화면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자.
4) 다음 화면에서 자신의 보드의 시리얼 키를 볼 수 있으며, 왼쪽 Signup 부분을 작성한 후
회원 등록을 하도록 하자!
5) 환영 메세지와 함께 아래와 같은 화면이 제공될 것이다. 이제 회원 가입이 끝났으니, 오른쪽
상단의 My Dashboard 메뉴로 들어가 보자.
6) My Dashboard 화면을 보면 자신의 정보가 나오는데, 처음에는 아무런 정보가 등록 되어
있지 않으니, 가운데 Edit my profile 을 눌러,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자(생략가능). 이것으로 유저 등록은
완료하였다.
1) 그 다음으로, 구입한 mbed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간단한 LED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자.
위의 My Dashboard 페이지의 오른쪽 하단의 칩그림과 함께 "mbed NXP LPC1768" 이라는 링크가 있다. 클릭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간단한 튜토리얼이 제공된다. 이중 화면 가운데의 "HelloWorld.bin" 을 클릭하여 테스트 프로그램의 바이너리
파일을 다운로드 받자.
2) 다운로드 받은 "HelloWorldLPC1768.bin" 파을 mbed 드라이브으로 옮기자.
그러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될 것이다. 참고로 아래와 같이 mbed 드라이브에는 MBED.HTM 파일과 mbed 실행을 위한 *.bin 의
바이너리 파일이 존재하는데 모든 파일을 삭제해도 다음번의 기동때 MBED.HTM 파일은 자동 생성된다는 점을
알아두자.
3) mbed에 파일을 업로드 한 후, 보드의 가운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번 "HelloWorldLPC1768.bin" 파일은 보드 왼쪽 하단의 LED1 이 시간 간격을 두고 깜빡 깜빡이는
것이다.
![]() 위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구입 후, mbed.org 에 유저 등록, 간단한 동작 테스트가 끝났다. 자~ 다음에는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짜서 컴파일해보고 실행파일을 업로드 해보는 것을 해보도록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