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에서는 여러가지 저항을 사용하여 LED의 밝기를 어떻게 변경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LEDLED는 매우 작은 전류를 사용하며 오래 가는 부품으로 빛을 발산하는 부품입니다. LED를 배터리라 전원소스에 직접 연결하면 안되는데, 그 이유는 LED로 들어오는 전류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반드시 저항과 같이 사용히야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저항을 이용하여 LED로 들어오는 전류의 양을 제한하지 않는다면 LED는 타버리게 됩니다. 그리고 LED는 음극과 양극을 가지고 있어 극성을 달리하여 연결하면 빛이 나오지 않습니다. ![]() LED를 저항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LED는 빛을 발산하는 부분 거의 즉시
망가지게 됩니다. LED의 음극과 양극을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입니다.
저항저항은 그 이름이 암시하듯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부품입니다. 저항의 값이 높아 질수록 흐르는 전류의 양은 줄어 듭니다. 이러한 저항을 이용하여 LED에 들어가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LED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 브레드보드 레이아웃아래와
같이 브레드보드에 부품을 연결 합니다.
![]() 아두이노는 편리한 5V 전원 소스입니다. 여기서는 LED와 저항에 5V전원을 공급하도록 결선되었습니다. 여기서 아두이노는 단지 전원만 공급하므로 USB 케이블 연결이외에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 270 Ω 저항을 연결하였을 경우 LED는 꽤 밝습니다만 470오옴 저항을 연결하면 LED가 살짝 어두워 집니다. 만약 2.2K오옴 저항을 연결한다면 LED는 많이 흐릿하여 질것입니다. 저항 위치 변경하기먼저
설치 했던 LED의 위치를 아래와 같이 반대로 연결하여도 LED는 동작합니다. 저항은 LED의 음극, 양극 어느쪽이든 위치하기만 하면 LED는
동작합니다.
![]() LED깜박이게 하기
브레드보드의 결선을 아래와 같이 살짝 변경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아두이노 5V에 연결되어 있던 빨강 와이어를 D13으로 연결합니다.
![]() 강좌
1에서 작성하였던 Blink예제를 아두이노에 업로드합니다. 그러면 브레드보드에 설치된 LED와 아두이노 보드상의 L LED도 같이 깜빡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빨강 점퍼를 이번에는 D13에서 D7 위치로 옮겨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blink예제의 아래 라인을 찾아 13을 7로 수정합니다.
이렇게 수정합니다.
컴파일하여 아두이노에 업로드합니다. LED가 역시 깜박이는 것을 볼수 있지만 이번에는 D7핀을 이용하였습니다. |